본문 바로가기
Daniel's Tip

헤지 펀드란?

by (구)Danie(현)금감원장 2021. 11. 16.

목차

    헤지펀드의 사전적 의미

    저번시간엔 PEF 사모펀드에 대해 아주 간략하게 맛만 봤습니다...^^

     

    오늘은 사모펀드와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헤지펀드에 대해 너무 깊지 않게 알아보려 합니다.

    우리나라 개인투자자들이 가지고 있는 헤지펀드의 의미는 굉장히 부정적인 이미지로 남아있습니다.

    IMF때 대거 헤지펀드들이 한국에 들어와 먹튀논란이 있었지요...

     

    헤지펀드의 원래 의미는 나쁜의미보다는...주가가 일정수준 밑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는 안전장치에서 시작합니다...

    예를들어 증시안정자금이 요번 코로나로 인해 거래소기준 1700P에 16조원이 작동되게 한것도 일종의 헷지전략...울타리로 보시면 되고...

    더이상의 하락이 없이 증시가 안정되고 일정수준으로 복구 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EXIT 전략을 취하게 됩니다...

     

    하지만 지금의 헤지펀드는 싸게 인수해서 정상화 시킨다음에 높은 가격으로 마친다는 점에서 사모펀드와 굉장히 유사점을 가지고 있지요...

     

    헤지펀드는 절대수익을 목적으로 합니다...무슨말이냐...떨어져도 수익이 나게 포트를 만들죠...ㅎㅎ

    제가 가끔 장을 보면서 양쪽 포지션을 다 잡는다고 말씀 드리는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공매도로 헷지하는 방식도 여러번 소개 해드렸구요...

     

    "롱/쇼트 모델의 기본은 특정한 주식에 대해 롱 포지션 (매수)을 취하는 동안, 주가 하락에 대한 위험 감소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쇼트 포지션 (공매도)을 동시에 취함으로 시장의 변동성이나, 주가 하락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하게한다."

    = 위키백과

     

    자 제가 말씀드렸던 현물 헷지 포지션과 동일하죠??

     

    일단 저 포지션을 만드려면 두개의 신용계좌와 다른 증권사가 필요합니다...

     

    방식은 간단하구요...한포트에는 롱포지션 (현물주식매수)을 잡습니다...

    그리고 다른증권사의 신용계좌에는 그와 반대포지션인 공매도를 쳐놓는것 이게 핵심이지요...

    일단 사과부터 드립니다..ㅜㅜ 

     

    그렇게 되면 주가가 올라갈때는 현물주식에서 이익...하락시에는 공매도에서 이익...

    "뭐야..결론은 쌤쌤이잖아.." = 네 맞습니다...무위험 포지션인거죠...

    대신...운용자의 결정에 따라 수익을 내고 못내고의 순간이 판가름 나게 됩니다...

     

    현물이 상승하면 현물에서 수익을 내고...주가라는것이 계속 오르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다시 제자리 찾아가서 공매도 가격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싸게 사서 대주거래를 완료하면 다시 이득...

     

    이게 헷지의 기본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헤지펀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이 위험을 상쇄시키는 포트를 만드는것이지요...^^

     

    오늘은 아주 간단하게  헤지펀드의 의미를 떠올려 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내가가진 자본을 어떤식으로 배분하느냐...즉 액티브와 패시브 포트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 해보기로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건승을 위하여~~)

    'Daniel's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권분석 첫번째 (기본적 분석)  (0) 2021.12.07
    정치관련 해서 짦게 부탁 드립니다.  (0) 2021.11.23
    사모펀드와 헤지펀드  (0) 2021.11.15
    신탁계약이란??  (0) 2021.11.12
    AI 투자? 핀트? 핀테크?  (0) 2021.11.10